흐름투자의이해
  유형별수익률
  흐름투자의매매원칙
  고담과의대화
  최근글
  유형의수익률추이
  이용안내
시장의흐름 | 장후정담 | 유형의매매 | 흐름투자의유형 | 회원방
현재위치 - 흐름투자의이해 > 왜 흐름투자인가  
흐름투자의 실질적인 예 (1)
제  목   흐름투자의 실질적인 예 (1)
작성자  산청노인 게시일  2005-04-19 00:00

2003년4월부터 1년간 상승추세(약420포인트상승)를 이어왔던 우리시장이 2004년 3월부터 그동안의 상승분에 대한 필연적인 일괄조정(약220포인트하락)을 맞게되는데 여기에서 그 일련의 일괄조정을 어떻게 극복해왔는가를 보여줌으로서 흐름투자의 대세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그당시 그러한 위기국면을 맞게되었을때 일반투자자는 물론 대부분의 전문가를 포함한 경제언론들은 우리주식시장의 앞날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피력하였으나 산청노인은 흐름투자를 통하여 사전에 일괄조정의 폭과 조정기간을 예견하였으며 조정의 진행중에도 조정이 통상적인 범위안에 있음을 여러번 지적하였고 또한 조정이 막바지에 이르러 모두가 극한 불안감에 휩싸여 있을때 다음 대세상승을 맞이할 준비를 강조하였읍니다.
  
아래에 그당시 산청노인이 인터넷에 기고한 글을 날짜순으로 간략히 나열하고 관계된 챠트를 제시 하였으며 원문은 고담과의 대화편에 수록되어 있으니 자세히 읽어보면 흐름투자를 익히는데 큰 보탬이 될 것 입니다.
  
                  
                (1)  2003년11월22일 (팍스넷) --- 향후 장세의 판단기준 

 

현재의 상승세가 마감되면 일시적인 경기회복이던 본격적인 경기회복이던 전체지수의 조정 폭은 나스닥시장은 고점에서 17-22% 우리시장은 고점에서 18-23%이고 조정기간은 짧게는 2개월 길게는 4개월 보름정도이다.
 

전체 지수가 조정하는 동안 삼성전자는 고점에서 22~27%, LG전자는 28~32%, 삼성SDI는 29~34%정도의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높으며 실질 조정폭이 작은 종목일수록 차기시장을 주도하는 핵심종목에 가깝다고 판단하여야 한다.  이 외에 현대자동차, 삼성증권도 차기시장의 핵심에 가까운 종목이라 할 수 있다.       

  

  

                (2) 2004년5월1일(팍스넷) --- 하락과정과 그 이후의 전개과정

 

2-4개월의 조정을 순조롭게 마무리하고 재상승 할 경우 이런 상승장를 대세상승을 알리는 큰 장이라 부르며 98년 이후 다시 대세상승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승을 순조롭게 마무리할 경우 전체시가총액은 1250-1450조 까지 상승가능하며 우량대형주의 경우 2001년 바닥에서 700-1200%까지 저가 대형주의 경우 바닥에서 1100-1800%까지 상승할 것으로 본다. 참고로 11월21일 현재 시가총약은 330조이다.

                      

                 

                (3)  2004년5월16일 (팍스넷) --- 차기 큰 장을 준비하자

  

차기시장의 핵심종목의 경우 전체지수가 10~15%의 1차하략때, 17~23%의 하락이 발생될 것으로 예측하여 드렸고, 2차하락의 바닥권인 전체지수가 18~23%하락이 발생할 경우 삼성전자는 고점대비 22~27%, 삼성SDI는 29~34%, LG전자는 28~32%의 하락이 발생한다고 하였읍니다 (장세 판단기준 참조). 이번 하락이 마감되면 현재까지 하락한 폭만으로 나타나는 핵심종목의 단순한 기술적인 반등폭은 바닥에서 14~21%의 수준입니다.  

               

                    

                (4)  2004년6월5일 (팍스넷) --- 조정 국면의 특징

 

하락은 두 단계로 나누어 10일 전후로 전체지수가 고점에서 10-15%의 1차 하락이 발생한 후 5-8%의 반등이 발생하고 다시 처음 하락한 폭만큼 2차 하락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이 두 번에 걸친 하락으로 그동안 전체상승에 대한 조정의 폭은 대부분 완료가 됩니다. 2차 하락이 완료되면 바로 이어서 단순한 본능적인 반등이 발생됩니다. 본능적인 반등이 끝나면 시장에는 지속적인 하락압력이 다시 발생됩니다. 이 하락압력은 상당히 오래 동안 계속되어지지만 2차 하락의 바닥을 깨고 내려올 정도의 강한 하락압력이 아닌 2차 하락의 바닥으로 되돌리려는 작은 하락압력입니다.

                     

          

         (5) 2004년6월20일  (팍스넷) --- 적극적인 시장참여

 

현재 우리시장은 겉으로는 기대하고 있던 것 보다 훨씬 강력하게 하락이 진행하고 있지만 재상승에 필요한 조정의 전형적인 특색인 시장통제가 내부적으로 고스란히 남아있는 탄탄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하락이 철저하게 통제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가장 특징적인 모습은 예측 가능한 형태로 하락을 진행하여 나간다는 것입니다. 현재의 조정형태를 상세히 기술한 장세판단기준을 조정이 발생하기  수개월 전에 작성하여 수 차례에 걸쳐 올릴 수 있었던 것도 하락과정이 철저하게 통제된 모습으로 나타나 예측 가능한 범위에서 움직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하락과정에서 시장을 통제하려고 하는 힘은 큰 상승을 가져온 시장내부에서 스스로 발생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상승흐름을 탄 미국의 나스닥시장과 일본의 니케이지수 그리고 홍콩의 항생지수의 조정시기에도 그대로 적용시킬 수가 있는 것입니다.

  

                     

               (6)  2004년7월11일  (팍스넷) --- 기조를 무너뜨리는 하락이란

  

대세상승 과정에서 발생되는 조정이 순조롭게 마무리하면 이전보다 더 강력한 두 번째 큰 상승흐름이 발생하게되는 것이며 반면에 조정과정이 순조롭지 못하여 통상적인 조정의 폭을 벗어나면  이후 강력한 새로운 하략이 발생하게 됩니다.

  

작년 우리시장과 상승을 같이한 주요국가의 통상적인 조정의 범위의 한계를 전체지수만으로 구분을 하여보면 나스닥시장의 경우 1680선이며 일본의 경우9500선 우리시장의 경우 720선입니다.


현재 우리시장은 언제라도 대세상승의 기조를 무너뜨릴 수 있는 위치에 놓여있지만 하락이 발생하는 움직임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조정국면에서 기조를 무너뜨리는 강한 하락이 발생하지 않는 한 대세상승의 흐름은 살아있다는 것입니다.

한마디 쓰기
 
지난 5년간 우리 주식시장의 흐름
흐름투자의 실질적인 예 (2)


 
 
 
DOW 33699.88 0.73%
NASDAQ 11789.58 1.02%
상해종합지수 3260.67 0.30%
DAX 15326.59 1.27%
종가기준